CHOICE

2024 해외 올해의 노래

by overtone | 2025.01.05

10. WILLOW(윌로우) - b i g f e e l i n g s

‘b i g f e e l i n g s’는 15초 만에 모든 것을 압도한다. 낮게 읊조리는 피아노의 코드 워크 이후, 단숨에 치솟는 윌로우의 고음 보컬이 만들어내는 낙차는 듣는 이를 삽시간에 곡의 중심으로 끌어당긴다. 그 에너지는 곡의 중반까지 이어지다, 돌연 비트를 걷어내고 피아노가 현악기의 피치카토처럼 주제 코드를 짚으며 보컬과 함께 분위기를 전복시키며 소강된다. 이 전환은 또다시 환상적인 유니즌으로 이어지며 텐션을 만들어냈다가, 윌로우의 한층 더 농염해진 보컬로 다시금 폭발한다. 단순한 반복이 아닌 주제의 끊임없는 변주와 해체, 재조합을 통해 곡의 종반부에 이를수록 더 강렬한 기대감을 형성하며, 마지막 순간까지도 이를 충족시키며 끝을 맺는다.

윌로우의 음악적 배경은 물론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그녀의 음악이 단지 윌 스미스의 후광으로 빛난다는 오해는 이 곡 하나로 완전히 지워진다. 선명하고 맑은 음색과 대치되는 복잡다단한 네오 소울 사운드, 그리고 재기발랄하게 구성된 편곡은 윌로우가 아티스트로서 가진 독창성을 명확히 증명한다. 주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그 변주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방향성을 만들어내는 곡의 전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윌로우는 이 곡에서 그것을 완벽히 해냈고, 이를 통해 예술가로서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이예진)

9. JADE(제이드) - Angel Of My Dreams

이제 막 솔로로 전향한 아티스트에게 그룹 시절은 꼬리표로 남는다. 그로 인해 과거에 미치지 못하고 주저앉는 이가 있는가 하면, 이전 커리어를 몽땅 유년으로 치부하고 더 높게 날아오르는 이도 있다. 제이드 설웰(Jade Thirlwall)은 후자다. ‘Angel Of My Dreams’는 리틀 믹스 때의 훌륭한 곡들마저 성장담의 발단으로 보이게 한다.

알의 껍질을 깨부수듯 대차게 시작하는 선율이 흐르고 나면 자신의 장기인 춤의 세계로 빠져든다. 내내 이어지는 멜로디컬과 일렉트로니컬의 유려한 전환은 끊임없이 심리를 교란하고 전복한다. 가사 속 감정 기복의 구현으로 보이는 이런 구조는 다양하게 변주하던 후렴이 피날레를 가장 완전하게 장악할 수 있도록 한다. 결말이 도착한 곳이 천상이건 꿈결이건 제이드는 보다 자유롭다. 그간 엎치고 뒤치던 곡의 격차도 이미 사춘기에 지나지 않는다. (권도엽)

8. Kamasi Washington(카마시 워싱턴) - Prologue

피아졸라의 ‘Prologue(Tango Apasionado)’를 새롭게 커버한 카마시 워싱턴의 ‘Prologue’는 그 자체로 강렬한 선언이다. 아르헨티나 이민자들의 애환에서 비롯된 춤, 탱고가 가진 슬픔과 열정을 재즈의 언어로 재해석하며, 원곡이 지닌 깊이를 한층 현대적으로 풀어낸다. 영화 <해피투게더> 속 보영이 아휘의 어깨에 기대는 장면에 흐르던 그 곡이, 이번 <Fearless Movement> 앨범의 마지막 트랙으로 자리하며 서막이 아닌 대미를 장식한다는 점에서 곡의 재해석력은 더없이 배가된다. 피아졸라가 고유의 밀도 높은 감정선을 유지했다면, 카마시는 이를 과감히 해체하고 다시 구축한다. 전위적인 드럼 사운드와 어눌한 브라스의 얽힘이 만들어내는 아이러니는 차갑고도 뜨거운 탱고의 이중성을 더 극적으로 드러내며, 단순히 커버에 머물지 않고 곡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한다.

탱고 리듬을 기반으로 브라스와 드럼의 폭발적인 교차가 만들어내는 자유로움은 막심 므라비차의 크로스오버 커버작들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Prologue’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정제된 혼돈을 통해 감정을 최대치로 끌어올린다. 특히 마지막에 폭발하듯 터져 나오는 브라스 스캣은 곡의 클라이맥스이자 백미로, 감정과 사운드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내는 순간이다. 상승과 소멸을 반복하며 이어지는 카타르시스는 주제를 반복적으로 되새김질하면서 곡의 완결성을 선사한다. 브라스의 파열음조차 격정의 증거로 이해시키며 피아졸라의 영혼과 탱고의 본질을 현대 재즈로 승화한 이 곡은, 카마시 워싱턴이야말로 지금 가장 선두에서 재즈의 가능성을 넓히는 존재임을 다시금 증명한다. (이예진)

7. Magdalena Bay(막달레나 베이) - The Ballad of Matt & Mica

수많은 작품이 결말 단계에서 좌절한다. 누군가는 방대한 세계관을 끝맺지 못해 찝찝한 뒷맛을 남기고, 또 누군가는 수도 없이 던진 떡밥을 회수하지 못해 몰매를 맞으며, ‘예술적인 결말’, ‘의외의 결말’을 억지로 연출하기 위해 스토리 자체를 붕괴시키는 경우도 허다하다. 시대를 대표하는 명사들에게도 결코 예외는 아니다. “명작의 조건은 결말의 붕괴다.”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큼, 잔뜩 쌓아 올린 스토리를 깔끔하게 집약하면서도 독자가 납득할 수 있는 결말을 짓기란 무척 까다로운 노릇이다.

Z세대 최고의 팝 앨범 중 하나로 기억될 <Imaginal Disk>는 마무리하는 방식마저 남다르다. 오랫동안 감춰왔던 아티스트의 본명을 전면에 등장시켜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향하는 서사 형태를 관념화하는가 하면, 앞선 트랙에 산재하던 요소를 곳곳에 끼워넣으며 서사 집약의 쾌감을 노골적으로 극대화한다. 소리는 또 어떠한가. 구호(chant)에 가까운 발화와 선명한 피아노 멜로디가 형성하는 색채의 사랑스러움은 충격적일 지경이다. 잘 만든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벅찬 해피엔딩을 마주하는 기분, ‘The Ballad of Matt & Mica’는 올해 가장 아름다운 작품의 마지막 트랙을 넘어 가장 아름다운 결말 그 자체로서 또 하나의 신선한 영감이 된다. (이승원)

6. Fontaines D.C.(폰테인즈 D.C.) - Starburster

실로 제멋대로다. 영국 포스트 펑크 씬의 총아를 넘어 현 세대 록을 책임질 스타로 지목받은 밴드 폰테인즈 D.C.의 프론트맨 그리언 채튼(Grian Chatten)은 외부의 시선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순간, 가장 내밀한 자신을 덜컥 꺼내놓아 버린다. 여과 없이 풀어낸 공황 발작 경험, 어지럽게 나열한 감정과 덩어리진 혼돈에 ‘Starburster’의 그리언 채튼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불안하고 , 또 공포스럽다.

이렇게 아티스트의 내면과 세간의 시야가 조응하는 순간, 밴드의 잠재력은 눈부시게 폭발한다. 트립 합 사운드와의 조합은 그중에서도 특히 결정적인 지점. 특유의 저돌적 진행과 시니컬한 고딕 음성이 트립 합의 최면적 고혹을 만나니 초기 고릴라즈(Gorillaz)처럼 비틀대면서도 세브달리자(Sevdaliza)나 FKA 트위그스(FKA twigs)의 그것처럼 끔찍하게 우아한 포스트 펑크가 탄생했다. 이 못말리는 밴드가 다시금 록스타의 시대를 열어젖힐 수 있을까. 폰테인즈 D.C.와 그리언 채튼은 이 물음에 강한 부정을 남기며 비로소 현 시대 록의 대표주자로 당당히 올라서고 만다. (이승원)

5. Vampire Weekend(뱀파이어 위켄드) - Classical

음악에서 어떤 요소를 반복하는 건 특별한 일이 아니다. 우리는 주제를 반복하고, 샘플을 반복하고, 코러스를 반복하는 수많은 곡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나 말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는 게 아니라 질문을 되풀이하는 것이라면 이야기가 조금 다르다. 그래서 ‘Classical’은 특별하다. “And when it does, which classical remains?”를 세 번 반복하는 에즈라 코에닉은 무지하여 묻는 것도 아니고 무엇이 남겠냐는 이 비관적인 태도가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함의하는 것도 아니다. 이들은 신에게 묻고 있다. 원시적인 색소폰과 순진무구한 합주는 신의 저의를 의심하는 대신 어린 양으로서 해답을 갈구한다. 그리고 이 간절한 기도가 성당 밖으로, 음반 밖으로 새어 나와 우리를 고민하게 만든다. 다툼과 전쟁으로 뒤덮인 세계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2024년은 후대에 무엇을 남길 수 있을까. 사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지 잘 알고 있다. 다만 너무나 연약한 탓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고, 베드로처럼 세 번 부정할 뿐이다. (이한수)

4. Charli xcx(찰리 xcx) - The girl, so confusing version with lorde

최근의 찰리 xcx는 종종 무서울 정도로 영리하다. 마치 음악계 전반이 그녀의 시나리오대로 움직이는 듯한 착각이 들 지경이다. 올해 최대의 화제작 <BRAT>의 수록곡 ‘girl, so confusing’의 리믹스 버전 ‘The girl, so confusing version with lorde’는 과연 그녀의 놀라운 기획력이 가장 크게 만개한 순간이다. 다소 시들해진 로드(Lorde)와의 라이벌리, 불편한 관계를 원곡을 통해 살짝 흘려 보내고는 얼마 지나지 않아 로드 본인을 리믹스 버전에 주인공으로 초대하며 극단적인 수준의 서사적 쾌감을 연출했다. 나아가 두 명의 개인사가 충돌하는 순간의 감정을 여성,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연결시키기까지. 찰리의 시나리오대로, 그리고 찰리와 로드의 가사(”The internet will go crazy”) 그대로, 인터넷은 완전히 미쳐버리고 말았다.

찰리 xcx의 이 영민한 연출 기법은 리믹스의 방법론 제시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리믹스라는 개념이 단순 원곡의 변용을 넘어 음악 외적 요소, 내부 서사, 원곡과의 관계성 등을 통해 원곡을 초월하는 감상을 전달할 수 있음을 완벽하게 증명했기 때문이다. 이제 최소한 팝의 영역 내에서, 리믹스의 용법은 ‘The girl, so confusing version with lorde’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될 것이고, 또 나뉘어야 할 것이다. (이승원)

3. Jamie xx(제이미 xx) - Baddy on the Floor

댄스 플로어와 전자음악의 역사를 보고 자란 소년 제임스 스미스는 전작 <In Colour>를 통해 UK 베이스 계열의 선두주자로 올라서며 스스로 역사가 되었다. 그리고 9년이 흐른 지금, 36세의 전설 제이미 xx는 댄스 음악이 다시금 수면 위에 떠오른 현대의 모습을 여유롭게 지켜보고, 지금의 그를 만든 그 곳, 댄스 플로어의 가장 높은 곳을 향해 단숨에 돌진한다.

“Thank you everyone for stepping out tonight…”

감격에 겨운 채 DJ 부스 앞에 선 그에게 지체할 시간이란 없다. 찢어지는 사이렌 소리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짧은 인사를 건넨 제이미는 곧바로 본론에 돌입한다.

“Move your body on the floor!”

그의 의도는 의심의 여지 없이 춤이다. 숨막히도록 흥미진진한 하우스 비트, 맥을 정확히 짚는 샘플링과 악기 활용, 흔들림 없는 구성에 남녀노소, 댄스 플로어의 모든 관객이 속수무책으로 홀려든다. “Won't stop until the drop stops!” 어떤 시련에도 댄스라는 시제가 영속하는 이유, 제이미 xx는 과연 그 노련한 솜씨와 아이 같은 열의로 전 세계 모든 레이브 파티에 기꺼이 울려퍼질 위대한 댄스 플로어 찬가를 완성하고야 말았다. (이승원)

2. RAYE(레이) - Genesis.

‘Genesis’는 한 편의 서사시다. 러닝타임만 7분에 달하며 곡의 제목부터 창세기인 이 곡은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라는 1장 3절의 구절이 반복하여 등장한다. 이는 단순 인용이 아니라 곡의 핵심 메시지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어둠 속에서 빛을 찾아가는 인간의 여정을 허밍과 오케스트레이션이 펼치는 서정적 서막으로 표현하며, 뒤이어 등장하는 레이의 신성한 보컬과 예기치 못한 힙합 비트는 혼란과 절망 속 삶의 역동성을 암시한다. 그리고 중반부, 모든 사운드가 소멸한 뒤 피아노와 브라스를 중심으로 1950년대 재즈의 황금기로 회귀하는 순간, 이 곡은 고통과 치유, 소멸과 재창조의 순환을 완벽히 형상화한다.

‘Genesis’는 그 자체로 음악적 구원이며, 레이의 범접할 수 없는 재능을 증명한다. 특히 창작곡으로 정통 재즈 어법을 자유롭게 활용한 점은 현대 음악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창성을 보인다. 곡의 중심 메시지는 2024년의 시대적 맥락에서도 강렬히 빛난다. 고립과 불안, 그리고 스스로의 가치를 잃어가는 현대인들에게 이 곡은 “빛이 있으라”는 외침과 함께 다시금 희망과 구원을 상기시킨다. 장르를 초월하는 실험적 구성을 통해 레이는 음악적 경계를 허물었으며, 이 작품은 단지 한 해의 최고 트랙에 그치지 않고, 어둠을 헤쳐 나가며 빛을 갈망하는 우리의 시대를 대변하는 음악적 선언이 된다. (이예진)

1. Kendrick Lamar(켄드릭 라마) - Not Like Us

진작부터 힙합의 왕으로 군림한 켄드릭 라마에게는 한 가지 불만이 있었다. 자신이 다스리는 영토가 충분히 넓고 비옥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 방책을 골몰하던 그는 꾀를 내어 래퍼들 간에 경쟁 구도를 만들고 이들을 독려했다. 덕분에 힙합은 당분간 충만해지는가 싶었지만, 얼마 후 다시 시국을 살피니 세태를 온통 어지럽히는 웬 작자가 심히 눈에 거슬렸다. 그래서 켄드릭은 결심했다. 이것이 컨트롤 대란과 드레이크 디스전에 임하는 그의 태도에 결정적인 차이를 낳는다. 단순히 씬을 위해 자극을 불어넣던 이전과 달리 그는 진짜 혈투를 준비했다.

그의 목적은 실상 드레이크를 업계에서 배제하려는 것이었기에 켄드릭은 압도적인 결과물의 차이를 필요로 했다. 그렇게 드러난 ‘Not Like Us’의 면면은 모두의 예상을 훨씬 상회했는데, 복잡다단하고 심오한 송라이팅을 거듭하던 그가 비교적 단순한 래칫 비트와 말을 맞춘 것이었다. 디스전이라는 이벤트 안에서도 진일보를 거듭하는 움직임은 다소 과시적이다. 제 사이즈가 아닌 글러브를 끼워도 가뿐히 카운터를 날릴 수 있다는 여유. 더불어 DJ 머스타드의 링 위를 뛰노는 걸신들린 공격들은 그 여유를 근거 있는 자신감으로 격상시켰다. 가사 속 “그들은 우리와 같지 않다”라는 말은 드레이크의 비인간성에 대한 일침인지 켄드릭의 탈인간성에 대한 자찬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줄곧 이어진 디스곡 끝에 마침내 결정타로 작용한 ‘Not Like Us’는 혼란하던 힙합에게 영광을 되찾아줄 가능성은 물론 올해 대중음악계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기에 이르렀다. (권도엽)

Honorable Mention (11~100)

11. FKA twigs - Eusexua
12. Jessica Pratt - Life Is
13. Geordie Greep - Holy, Holy
14. Lupe Fiasco - Samurai
15. Waxahatchee - Right Back To It
16. Tyler, The Creator - St. Chroma
17. Floating Points - Octillo
18. Billie Eilish - CHIHIRO
19. Adrianne Lenker - Sadness As A Gift
20. 青葉市子(Ichiko Aoba) - Lucifèrine

21. MJ Lenderman - She’s Leaving You
22.The Last Dinner Party - Caesar on a TV Screen
23. Childish Gambino - Lithonia
24. JPEGMAFIA - SIN MIEDO
25. Friko - For Ella
26. Knocked Loose - Suffocate
27. Olivia Rodrigo - obsessed
28. Suki Waterhouse - OMG
29. Chappell Roan - Good Luck, Babe!
30. The Cure - Alone

31. Father John Misty - Mahashmashana
32. The Lemon Twigs - My Golden Years
33. Iglooghost - New Species
34. Kim Gordon - BYE BYE
35. Kendrick Lamar - squabble up
36. SZA - Saturn
37. AURORA - Some Type Of Skin
38. Jack White - That’s How I’m Feeling
39. Fat Dog - Running
40. Beyoncé - 16 CARRIAGES

41. Mount Eerie - I Walk
42. Nubya Garcia - The Seer
43. Beth Gibbons - Reaching Out
44. English Teacher - R&B
45. Cindy Lee - Kingdom Come
46. A.G. Cook - Britpop
47. 長谷川白紙(Hakushi Hasegawa) - Boy’s Texture
48. Porter Robinson - Cheerleader
49. Sabrina Carpenter - Espresso
50. Burial - Dreamfear

51. St. Vincent - Big Time Nothing
52. Maruja - The Invisible Man
53. Schoolboy Q - Blueslides
54. clipping. - Run It
55. Jane Remover - Dream Sequance
56. Saya Gray - AA BOUQUET FOR YOUR 180 FACE
57. Denzel Curry - HOT ONE
58. Ravyn Lenae - Love Me Not
59. Remi Wolf - Cinderella
60. FLO - Caught Up

61. Raveena - Pluto
62. IDLES - Hall & Oates
63. Caroline Polachek - Coma
64. Ethel Cain - Punish
65. Clairo - Juna
66. Omar Apollo - Done With You
67. Metro Boomin - BBL Drizzy
68. Nia Archives - Crowded Roomz
69. Twenty One Pilots - Overcompensate
70. Megan Thee Stallion - HISS

71. Mk.gee - Alesis
72. Amyl & The Sniffers - U Should Not Be Doing That
73. Tove Lo & SG Lewis - Let me go OH OH
74. Sampha - Satellite Business 2.0
75. Uyama Hiroto - Color of Love
76. 2hollis - gold
77. Asake & Wizkid - MMS
78. Laufey - Goddess
79. Cimafunk - Cuchi Cuchi
80. Tommy Richman - MILLION DOLLAR BABY

81. Joey Valence & Brae - PACKAPUNCH
82. Allie X - Off With Her Tits
83. The Marias - Run Your Mouth
84. Muni Long - Ruined Me
85. Doechii & JT - Alter Ego
86. Chelsea Wolfe - Everything Turns Blue
87. Kacey Musgraves - Deeper Well
88. Gracie Abrams - Close To You
89. Machine Girl - Psychic Attack
90. Tinashe - Nasty

91. Poppy - New Way Out
92. Erika de Casier - Lucky
93. Cassandra Jenkins - Only One
94. Justice & Tame Impala - Neverender
95. Orla Gartland - Little Chaos
96. 君島大空(Ohzora Kimishima) - Lover
97. Hiatus Kaiyote - Everything’s Beautiful
98. Coco Jones - Here We Go (Uh Oh)
99. 星街すいせい(Hoshimachi Suisei) - ビビデバ
100. Lady Gaga, Bruno Mars - Die With A Smile

Recent Choices

© 2024 overtone. Designed by Dain Yoon.